한국소리문화의전당 로고

통합검색
닫기
닫기
월별프로그램
유튜브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블로그 바로가기
TOP
풍류 방중지악 - 제2회 정기연주회(平調會相)

기간

2005-07-05~2005-07-05

시간

19:30

장소

명인홀

가격

일반 1만,학생 5천원

주최

문의

1588-7063

공연소개

풍류 방중지악 - 제2회 정기연주회(平調會相)

점차 비중이 커가는 창작국악과 전통국악 그대로를 균형있게 발전시키고자하는 젊은 국악인들이 모였다. 이번공연에서 연주될 평조회상(平調會相)은 영산회상(靈山會相)에 속하는 기악곡으로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또는 취태평지곡(醉太平之曲)이라고도 한다. 거문고가 중심인 영산회상을 4도 낮은 평조 계면조(平調界面調)로 이조(移調)한 데서 평조회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Program

平調會相
上靈山
中靈山
細靈山
加樂除只
上絃還入
念佛還入
打令
軍樂

평조회상
가명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또는 취태평지곡(醉太平之曲)이라고도 한다. 거문고회상, 즉 거문고가 중심이 되는 영산회상은 우조(羽調; 즉 높은 조)의 계면조인 데 대하여 평조회상은 4도 낮은 평조의 계면조로 변조(變調)한 회상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평조회상에 있어서 평조라는 용어는 그것이 선법(旋法; mode)을 뜻하지 않고 ‘높다’ ‘얕다’ 하는 조(調; kye)를 가리킨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때의 평조는 고지(高地)의 반대가 평지(平地)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며, 그렇게 생각하면 평조는 낮은(平) 조(調)라는 점을 dlgogf 수 있을 것이다.

거문고회상과 평조회상의 관계는 거문고회상이 황종 계면조인 데 대하여 평조회상은 그보다 4도 낮은 임종 계면조로서 평조회상은 거문고회상을 4도 낮은 조로 옮긴 곡이다. 이와 같이 평조회상은 거문고회상을 4도 낮게 옮긴 것이지만, 서양 음악에서와 같이 전체 음악이 완전이 4도 아래로 옮긴 것은 아니다.

즉, 중영산·세령산·가락덜이(加樂除只)·상현도들이(上絃還入)·염불도드리(念佛還入)·타령은 완전히 4도 아래로 옮기었지만, 거문고 4괘법에 의한 상영산은 전연 다르고, 하현도들이(下絃還入)는 빠졌고, 끝 곡인 군악(軍樂)은 피리가 한 구멍 치켜 잡고 내려부는 그 주법이 다를 뿐, 선율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문고는 그 연주법상 조금 다른 점이 있기는 하여도 거문고회상의 상연산을 4도 낮게 옮기고 있다. 그러나 가야고를 비롯하여 대금 · 피리 · 해금 등은 모두 음역의 제약 때문에 4도 아래로 옮길 수가 없다. 예를 들면 피리는 중영산 이하는 그 음역상 4도 아래로 옮길 수 있으나 저음역(低音域)으로 연주하는 상영산에서는 4도 아래로 옮길 수 없는 부분이 많다. 이러한 때는 오히려 4도 아래로 옮긴 선율보다 한 옥타아브 위로 바꾸어 연주한다. 이와 같이 음역의 제약 또는 연주법상의 편의에 의하여 피리 · 대금 · 해금 등의 악기의 연주법은 거문고와 다르다. 그뿐 아니라 가야고나 양금도 그 음역에서 오는 연주법상 거문고를 따르지 않고 피리의 가락을 모방하고 있다. 그리고 평조회상에서 하현도들이가 없는 이유도 연주법의 어려움에서 온 것이다.

평조회상은 거문고회상과는 달리 음량이 큰 향피리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음량이 약한 양금이나 단소(短簫)와 같은 악기는 편성되지 않는다. 장고도 거문고회상에서는 채편의 변죽을 때려 소리를 작게 내지만, 평조회상에서는 장고채로 복판을 치며, 대금 · 해금 · 거문고 · 가야고의 편성 방법도 여민락의 예와 마찬가지로 향피리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평조회상 중에서 상영산은 대금이나 피리 독주곡으로 더 많이 알려지고 있으며, 궁중(宮中) 정재(呈才)인 춘앵전(春鶯囀)의 반주곡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출처; 장사훈저 국악총론 中

단원 프로필

함상원(대 금)
부산예술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제 1회 함상원 대금 독주회
현 전주시립국악단 대금 수석단원
목원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요무형문화재 제 83-나호 ‘이리향제줄풍류’ 전수자
전주국악실내악단 단원

김종균(피 리)
남원상업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현 전주시립국악단 상임단원
전북도립 어린이국악관현악단 지도교사

오정무(해 금)
전주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졸업
제 1회 오정무 해금 독주회 ‘독백’
전주시립국악단 제 132회 정기연주회 협연
대구시립국악단 상임단원 역임
현 전주시립국악단 해금 수석단원
전북도립 어린이국악관현악단 지도교사
해금실내악단 ‘이현의 농’ 운영위원
중요무형문화재 제 83-나호 ‘이리향제줄풍류’ 전수자
전주교대 음악교육과, 경북대 국악학과, 전주예원중 출강

김갑수(아쟁, 양금)
전주완산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전북도립구악관현악단 협연
제 1회 김갑수 아쟁 독주회
전 전주예원중 강사
현 전북도립국악관현악단 부수석 및 총무
우석대학교 대학원 지휘전공 재학
중요무형문화재 제 82-라호 ‘남해안별신굿’ 전수자
전주국악실내악단 단원

이민주(단소, 소금)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현 전주시립국악단 상임단원 및 총무
전주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출강
전북도립어린이 국악관현악단 지도교사

정준수(거문고)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현 전주시립국악단 상임단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재학
전주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출강

신호수(장 구)
서울경복고등학교 졸업
우석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목원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과 졸업
2000년 전국 팔마 고수대회 명고부 대상
현 전주시립국악단 타악 수석단원
전라북도지정 무형문화재 9호 고법 전수자
전주국악실내악단 단원

도와주신 분
박정수(가야금)
서울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추계예술대학교 졸업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졸업
현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상임단원
대전예고 및 목원대학교 한국음악과 출강

목록보기